메뉴 건너뛰기


그리스도인 경멸했던 좌파 레즈비언 교수의 개종기

 

그리스도인을 경멸했던, 좌파 레즈비언 교수인 내가, 

어쩌다보니 그리스도인이 되었다.


d0089063_4d218bdf1cc3b.jpg



나는 내가 사랑하던 모든 것을 잃고 싶지 않았다. 그러나 하나님의 목소리는 산산이 부서진 내 세계의 잔해 위에서 승리의 노래를 불렀다.... 내 삶을 위해 예수께서 흘리신 피를 결코 잊을 수 없다.


미국에서도 버터필드(Rosaria Champagne Butterfield) 교수의 개종은 큰 충격을 준다. 좌파 레즈비언 교수로 대학에서도 정년까지 보장받은 그녀는, 성경 앞에서 완전히 무너져버려 이제는 사모로서 사역하고 있는 대표적인 사례이기 때문이다. 그녀는 정말 개종할 수 없는 완벽에 가까운 좌익 이데올로기, 즉 유물사관과 진화론 그리고 페미니즘의 진정한 대변인이었기 때문이다.

 

크리스처니티투데이는 거의 기적에 가까운 그녀가 어떻게 해서 복음 앞에서 무너졌는가를 보도해준다(My Train Wreck Conversion: As a leftist lesbian professor, I despised Christians. Then I somehow became one). 그녀의 개종은 이제 동성애자들을 심판 받는 사람이 아니라 하나님의 자녀로 돌아서게 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다음은 버터필드 교수의 고백이다.

 

나는 조만간 ‘종신 재직 급진주의자’(tenured radicals, 대학에서 정년을 보장받은 좌파 출신의 급진적 교수)가 될 운명의 영문학 및 여성학 교수로서 도덕과 정의, 연민을 가장 중요한 가치로 생각하는 사람이었다. 


프로이드와 헤겔, 마르크스, 다윈의 세계관을 열렬히 추종했으며, 항상 힘없고 소외된 계층을 대변하려고 노력했다. 나는 도덕을 중시했다. 만약 예수와 그의 제자라는 사람들이 기독교 우파의 문화적 기반이 되지만 않았더라면 그럭저럭 그들을 참아줄 수도 있었을 것이다.

 

1992년 공화당 전당대회에서 팻 로버트슨이 페미니즘에 대해 빈정거린 내용은 정말이지 기가 막혔다. “페미니즘은 여자들로 하여금 남편을 저버리고, 자녀를 살해하고, 마녀술을 행하고, 자본주의를 파괴하고, 레즈비언이 되게 만든다.” 나는 극도로 분노했다. 그리고 공화당의 정치 이데올로기와 뒤섞여 울려 퍼지는 기독교 교리들에도 관심을 갖게 되었다.

 

종신 재직 심사를 통과한 후 나는 좌파 레즈비언 교수들과의 유대를 더욱 강화해 나갔다. 나는 행복하고 의미 있고 충만한 삶을 살고 있었다. 나와 레즈비언 파트너는 에이즈 관련 활동, 아동보건 및 문맹퇴치 활동, 골든 레트리버 구조 활동, 일신론적 보편구원론파(Unitarian Universalist, 삼위일체설을 부정하고 일신설을 주장하는 일신론과 인간은 결국 모두 구원받는다고 주장하는 보편구원론을 통합한 교파) 교회활동 등 여러 가지 중요한 관심사를 공유했다. 


아무리 로버트슨과 그 무리들이 주장하는 황당한 이야기를 믿는 사람이라도 나와 내 파트너가 이웃을 배려하는 훌륭한 시민이라는 사실에 이의를 제기할 수는 없었을 것이다. LGBT(레즈비언)공동체는 타인에 대한 환대를 중시했고, 진심을 다해 능숙하고 헌신적으로 타인을 대접할 줄 아는 집단이었다.

 

나는 기독교 우파의 정체와, 우리 같은 동성애자들에 대해 그들이 쏟아내는 증오의 정치학을 조사하기 시작했다. 이를 위해서는 그토록 많은 사람들을 실족하게 만든 바로 그 책, 즉 성경을 읽어봐야 할 것 같았다. 나는 내 조사를 도와줄 성경학자를 찾는 동시에, 예수와 공화당의 정치 논리, 그리고 가부장제라는 신성하지 못한 삼위일체를 향한 첫 번째 공격을 개시했다. 1997년 처음으로 지역신문에 ‘프라미스 키퍼스’(Promise Keeper)에 대한 비판 기사를 게재했던 것이다.

 

기사는 사회적으로 상당한 반향을 불러일으켰고, 나는 내 책상 양편에 큰 상자를 하나씩 마련해두어야 했다. 하나는 내 기사에 대한 항의 편지, 다른 하나는 지지 편지를 담아두기 위한 상자였다. 그런데 이런 편지 분류 체계를 적용하기 어려운 편지가 한 통 날아들었다. 바로 시라큐스개혁장로교회(Syracuse Reformed Presbyterian Church)의 목사가 보내온 편지였다. 호기심 가득 찬 호의적인 편지에서 켄 스미스는 다음과 같은 흥미로운 질문을 던지며 대답을 요청했다.

 

“당신은 어떻게 그런 해석에 도달하게 됐습니까? 당신이 옳다는 사실을 어떻게 확신합니까? 하나님의 존재를 믿습니까?” 켄은 내 기사의 내용을 놓고 논쟁을 벌이는 것이 아니라, 내가 그 기사의 근거로 삼고 있는 가정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다. 나는 어떤 반응을 보여야 할지 알 수가 없었다. 그래서 그냥 편지를 던져버렸다.

 

하지만 그날 밤 늦게 나는 재활용 박스에서 그 편지를 끄집어내 책상 위에 올려놓았다. 편지는 일주일 동안 내 책상 위에 자리 잡고 앉아서 전혀 다른 세계관의 관점에서 내게 답변을 요구했다. 


포스트모던 지성인으로서 나의 세계관은 역사적 유물론이었는데, 기독교는 초자연적 세계관을 갖고 있었다. 켄은 전혀 몰랐겠지만 그 편지를 계기로 나는 내 연구 프로젝트에 대한 확신을 잃고 말았다.

 

그 편지를 시작으로 장장 2년에 걸쳐 켄은 이교도인 나에게 교회의 진면목을 보여주기 시작했다. 물론 내가 게이 프라이드(Gay Pride) 행진에 참여할 때마다 그리스도인들이 흔들어대는 현수막에는 우리 동성애자들을 위한 성경구절이 쓰여 있기는 했다. 


그들은 나와 내 사랑하는 게이 친구들이 틀림없이 지옥에 떨어질 거라고 확신하며 매우 기뻐하는 표정이었다. 켄은 결코 그런 행동을 하지 않았다. 그는 나를 조롱하는 대신, 이해하고 관계를 맺으려 노력했다. 그래서 어느 날 켄이 저녁식사에 나를 초대했을 때 흔쾌히 수락할 수 있었다. 물론 당시 나의 수락 동기는 분명했다. 내 성경연구에 도움이 될 것 같아서였다.

 

그런데 뭔가 다른 일이 벌어졌다. 켄과 그의 아내 플로이, 그리고 내가 친구가 됐던 것이다. 그들은 나의 세계로 들어왔고, 내 친구들을 만났다. 서로의 책을 교환해 읽기도 했다. 성과 정치에 대해서도 터놓고 대화를 나눴다. 


그들은 다른 그리스도인들처럼 그런 대화를 나누면 자신들의 순수성이 오염이라도 되는 양 까다롭게 굴지 않았다. 나를 빈 서판(blank slate)처럼 다루지도 않았다. 식탁 앞에서 기도를 할 때도 켄은 내가 한 번도 들어본 적이 없는 방식으로 했다. 


그의 기도는 친밀하면서도 자신의 연약함을 그대로 드러내는 기도였다. 그는 내 앞에서도 아무렇지 않게 자신의 죄를 회개했다. 모든 것에 대해 하나님께 감사했다. 켄의 하나님은 거룩하고 단호했지만, 자비로 가득 차 있었다. 게다가 켄과 플로이는 나를 교회로 초대하지는 않았기 때문에 그들과 친구가 돼도 안전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나는 성경을 읽기 시작했다. 게걸스럽게 성경을 파고들었다. 다양한 번역본으로 여러 차례 반복해서 읽었다. 나와 내 레즈비언 파트너가 함께 준비한 저녁 모임에서 내 트랜스젠더 친구 제이(J)가 나를 부엌 한구석으로 조용히 불렀다. 


그녀는 커다란 손을 내 손 위에 올리고 이렇게 말했다. “너 성경을 읽으면서 사람이 달라지고 있어, 로사리아.” 그것은 경고였다.


나는 떨리는 목소리로 속삭였다. “J, 만약 성경이 진실이면 어떻게 해? 예수가 정말 부활하신 주님이면 어떻게 하냐고? 우리 모두 곤란한 상황에 빠져 있는 거라면?”

 

J는 깊은 한숨을 내쉬었다. “로사리아, 나는 15년 동안 장로교 목사였던 사람이야. 제발 날 좀 고쳐달라고 내가 하나님께 한두 번 기도했겠니? 아무 소용없었어. 네가 원한다면, 네 기도도 해줄게.”


그래도 나는 성경 읽기를 중단하지 않았다. 그러면서도 성경이 내 안에 불어넣은 생각들에 저항하려고 발버둥 쳤다. 그러나 곧 내 안에서 나보다 성경의 능력이 더 커졌고, 바깥 세계로까지 흘러넘치기 시작했다. 나는 죽을힘을 다해 저항했다. 


그러던 어느 일요일 아침, 나는 레즈비언 연인의 침대를 빠져나와 한 시간 후 시라큐스개혁장로교회의 신도석에 앉아 있었다. 부치(butch, 남성성이 강한 레즈비언) 특유의 짧은 머리를 하고 신도석에 앉은 나는 잠깐 하나님을 만나보러 온 것뿐이라고 계속 되뇌었다. 하지만 나와 내가 사랑하는 친구들이 전부 지옥불 속에서 고통 받는 장면이 파도처럼 밀려오면서 내 의식을 자극했고, 결국 나를 완전히 사로잡았다.

 

나는 온 힘을 다해 저항했다. 그것은 내가 원한 것이 아니었다. 물론 요구한 것도 아니었다. 나는 앞으로 내가 치러야 할 대가를 계산해보았다. 계산 결과는 전혀 내 마음에 들지 않았다. 그러나 하나님의 약속은 파도처럼 내 삶으로 밀려들었다.

 

어느 주일 켄은 요한복음 7:17을 주제로 설교를 했다. “하나님의 뜻을 따르려는 사람은 누구든지 이 가르침에 대하여 알게 될 것이다.” 이 말씀은 마치 자꾸만 빨려 들어가는 모래 흐름처럼 내 발목을 휘감았다. 나는 생각을 하는 사람이었다. 책을 읽고 그 책에 대해 글을 쓰는 것이 직업이었다. 


인생의 어떤 영역에서나 나는 먼저 ‘이해’가 되어야 ‘복종’할 수 있다고 생각해왔다. 따라서 내 방식대로 하나님께서 나에게 먼저 동성애가 왜 죄인지 보여주시길 바랐다. 나는 심판을 받는 자가 아니라 심판을 하는 자가 되고 싶었다.

 

그러나 요한복음의 약속은 먼저 ‘복종’을 하면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이었다. 나는 다음과 같은 질문과 씨름하지 않을 수 없었다. 


“나는 정말로 하나님의 관점에서 동성애를 이해하고 싶었던 것인가, 아니면 그저 하나님과 논쟁을 벌이고 싶었을 뿐인가?” 그날 밤 나는 하나님 앞에 무릎을 꿇고 앉아 이해가 되지 않아도 먼저 복종할 수 있는 의지를 달라고 기도했다. 기도는 새벽이 밝아올 때까지 계속되었다. 기도를 마치고 거울을 봤을 때 내 외모는 전날 밤 그대로였다. 그러나 성경의 렌즈를 통해 내 마음을 들여다보자 다음과 같은 의문이 들었다. ‘나는 정말 레즈비언인가, 아니면 그저 정체성을 착각한 것뿐이었을까? 만약 예수께서 세상을 산산이 쪼개고 혼과 골수를 가를 수 있는 분이라면, 나의 진짜 정체성을 밝혀주실 수도 있지 않을까? 나는 누구인가? 하나님은 나를 어떤 사람이 되게 하실까?

 

그러던 어느 날 나는 마침내 두 손을 높이 들고 예수 앞으로 나아갔다. 이 세계관의 전쟁 뒤에는 켄과 플로이, 몇 년 동안 나를 위해 기도해준 교회가 있었다. 그리고 예수께서 승리하셨다. 나는 완전히 무너졌다. 그리고 만신창이가 되어 하나님을 향해 돌아섰다. 


나는 내가 사랑하던 모든 것을 잃고 싶지 않았다. 그러나 하나님의 목소리는 산산이 부서진 내 세계의 잔해 위에서 승리의 노래를 불렀다. 예수께서 죽음을 이기셨다면 내 세계도 고쳐주실 거라는 믿음이 생기기 시작했다. 


처음에는 망설였지만 곧 열정적으로 성령의 위로를 마음껏 누리기 시작했다. 처음엔 나 홀로 평화를 누렸지만, 곧 공동체 안에서도 평화를 누리게 되었고, 지금은 하나님의 언약 가족 안에서 한 남자의 ‘아내’이자 아이들의 ‘어머니’로서 평화를 누리고 있다.

 

나는 지금의 내 삶을 위해 예수께서 흘리신 피를 결코 잊을 수 없다. 과거의 내 삶은 여전히 내 마음 한구석에 날카로운 칼날처럼 번쩍이며 도사리고 있다.


로사리아 샴페인 버터필드는 「기적적인 개종자의 비밀스러운 생각」(The Secret Thoughts of an Unlikely Convert, 아바서원 근간 예정)의 저자이자 더램제일개혁장로교회(First Reformed Presbyterian Church of Durham)의 목사 사모로 현재 가족과 함께 노스캐롤라이나주 더램에 거주하고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279 김학중 목사 [진정한 회복을 꿈꾸라] file kim 2016.04.26
278 김종철 감독과 함께 떠나는 [샬롬 이스라엘]1~4 file kim 2016.01.31
277 김명현 박사 성경과학 세미나① 창조론일 수 밖에 없는 과학적 증거 file kim 2017.09.02
276 김명현 박사 성경과학 세미나 ② 대홍수와 잃어버린 세계 file kim 2017.11.14
275 김기동 목사 강하고 담대하라 (수1:1-9 , 세리토스 주일부흥메세지 1/28/2024 file wgma 2024.01.30
274 긴급 미기모(미국을 위한 기도모임 I pray for America) file wgma 2015.01.23
273 기독교인이 봐야할 가장 중요한 비디오 file wgma 2016.06.24
272 기독교인의 삶은 답 없이 사는 것 배우는 것 [스탠리 하우워스 교수] file kim 2015.01.08
271 기독교와 천주교는 무엇이 다른가? / 노우호 목사 file kim 2015.06.20
270 기독교와 천주교는 무엇이 다른가? / 노우호 목사 file kim 2015.09.19
269 기독교대한성결교회 총회장 이 신 웅 목사 [부활절 멧세지] file kim 2015.04.04
268 기독교 역사와 사순절의 의미 file kim 2015.03.23
267 긍정의 습관 만드는 말 한마디, 즐거운 하루 되세요! kim 2015.03.23
266 긍정과 감사의 산물 – 웃음은 경쟁력이다! file kim 2015.02.18
» 그리스도인 경멸했던 좌파 레즈비언 교수의 개종기 보도 file kim 2014.10.21
264 그 사람과 도무지 말이 안 통하는 18가지 이유! file kim 2015.03.07
263 국제뉴라이프복음운동 2021. 5. 28. 은혜(2) - 장영출목사 file wgma 2021.05.27
262 국가조찬기도회 2017/6/16, 이스라엘 지부 설립 file kim 2017.06.16
261 교회협, 일본 구마모토현 지진 피해자들 위한 위로 서신 보내 file kim 2016.04.16
260 교회 신앙 바로 서야 국가도 바로 선다" wgma 2015.01.22
Board Pagination Prev 1 ...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 33 Next
/ 33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게임방, 학교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

TAL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