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자 과단성, 여자 포용력은 타고난 특성

by kim posted Nov 24, 201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남자 과단성, 여자 포용력은 타고난 특성


남자와여자큰차이점1.png



여자보다 어떤 결정을 할 때 과단성이 있는 반면 여자는 남자보다 열린 마음을 가져 포용력이 크다.

영국 일간 데일리메일 인터넷판은 19일 워릭대 자카리 에스테스 박사팀이 남자와 여자들에게 다양한 물건을 여러 범주로 분류하게 하는 실험을 통해 어떤 판단을 할 때 남녀 사이에 이런 차이가 있음을 확인했다고 전했다.

남녀 간의 이런 특성 차이는 일상생활에서도 흔히 나타난다. 저녁 모임에 무엇을 입고 갈까 고민하며 결정을 못 하는 여자의 모습은 사람들에게 전혀 생소한 게 아니다.

또 미국 가수 오디션 프로그램 ‘아메리칸 아이돌’의 심사위원 중 독설로 유명한 사이먼 코웰과 애정 어린 격려가 특징인 폴라 압둘은 남자와 여자의 이런 특성을 잘 보여주는 예로 꼽힌다.

에스테스 박사팀은 실험 참가자 100여명에게 50가지 물건을 제시하고 물건들이 어떤 범주에 속하는지 판단하게 했다.

그 결과 이들 물건을 특정 범주로 분류하지 못한 채 두 개 이상의 범주에 부분적으로 속한다는 식으로 판단하는 비율이 남자보다 여성에서 25%나 높게 나타났다.

‘토마토는 과일인가?’라는 질문의 경우 대부분 남자는 대답이 과일이든 아니든 거리낌 없이 결정한 반면 여자들은 토마토는 ‘다소’ 과일 범주에 들 수 있다는 식으로 답했다.

이에 대해 에스테스 박사는 이 연구에서 물건을 분류할 때 남녀 사이에 상당한 차이가 있음이 밝혀졌지만 이것이 남녀의 결정 방식 중 어느 하나가 본질적으로 더 좋다는 것을 뜻하지는 않는다고 말했다.

예를 들어 남자 의사가 질병을 신속하고 자신감 있게 진단해 치료에 유리할 수도 있지만 진단이 잘못되면 오히려 큰 문제가 될 수 있고, 심사숙고형인 여자 의사가 진단과 치료에 더 효과적인 경우도 많다는 것이다.

그는 또 이 결과로 볼 때 남자는 단호한 행동이 필요한 직업에, 여자는 심사숙고하는 접근방식이 중요한 일에 더 적합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덧붙였다.


Articles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TAL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