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서평(엘리제 셰핑) 22년간 보리밥에 된장국 먹으며, 조선인으로 살다!

by kim posted Dec 12, 201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미국 32세 처녀 서서평(엘리제 셰핑) 간호선교사,

22년간 보리밥에 된장국 먹으며, 조선인으로 살다!

 

서서평1.jpg



“19346월 서서평 선교사는 광주에서 만성풍토병과 과로, 영양실조로 숨졌다. 그녀가 남긴 건 담요 반 장, 동전 7, 강냉이가루 2홉뿐이었다. 한 장 남았던 담요는 이미 반으로 찢어 다리 밑 거지들과 나눴다. 시신도 유언에 따라 의학연구용으로 기증되었다


찢어지게 가난한 나라 조선에서 22년간 보리밥에 된장국을 먹고 고무신을 끌고 다니며 조선인의 친구가 아니라 그저 조선인으로 살았던 사랑의 사람. 가난하고 병든 이웃, 나환자들을 죽기까지 섬겼던 그 사람은 한국이름 서서평(본명 엘리제 셰핑·1880~1934) 선교사였다. 독일 출신 미국인인 서서평 선교사는 191232살의 나이에 처음 조선에 온 처녀 간호 선교사였다


당시 조선은 나라를 잃은 슬픔 속에 제 백성 돌볼 엄두도 못 내던 나라였다. 그녀는 끊임없이 병고에 시달리는 몸으로 광주 제중원 등을 중심으로 전라도 일대와 제주도를 끊임없이 순회하며 아픈 사람들을 돌보고 가난한 여인들을 가르쳤다.


14명의 양자, 양녀, 38명의 과부 거둬

서서평 선교사가 바라본 조선 땅은 고난으로 가득 차 있었다. 한 번 순회 진료와 전도 여행을 나서면 한 달 이상 말을 타고 270킬로 이상 거리를 돌았다. 진흙탕에 말이 쓰러지면 머리에 이고 백리 길을 걸었다. “이번 여행에서 500명 넘는 조선여성을 만났지만 이름을 가진 사람은 열 명도 안 됐습니다. 조선 여성들은 돼지 할머니“ ”개똥 엄마“ ”큰년“ ”작은년등으로 불립니다. 남편에게 노예처럼 복종하고 집안일을 도맡아 하면서도, 아들을 못 낳는다고 소박맞고, 남편의 외도로 쫓겨나고, 가난하다는 이유로 팔려 다닙니다. 이들에게 이름을 지어주고 한글을 깨우쳐주는 것이 제 가장 큰 기쁨 중 하나입니다.” (1921년 내쉬빌 선교부에 보낸 편지)


서서평.jpg



한국최초 여성신학교 세우다

서서평은 여기에 만족하지 않고, 한국 최초의 여성신학교인 이일학교(현 한일장신대의 전신)를 세워 여성들을 가르쳤다. 조선간호부협회(현 간호협회의 전신)를 세우고 일본과 별도로 세계 간호사협회에 등록하려 애썼던 이도 서서평이다


한글 말살정책이 진행 중인 일제 치하에서 간호부협회의 소식지와 서적들은 모두 한글 전용을 고집했다. 조선 사람들에겐 출애굽기를 가르치며 독립의 확신을 심어주려 애썼다. 독신 여성 간호 선교사로 조선 땅에 와서, 한복에 고무신을 신고 평생 병들고 가난한 조선인과 나환자들을 섬기며 살았다


1929년 조선간호부협회를 세계협회에 가입시키기 위해 갔던 미국에서, 서서평은 갓 1살 된 자신을 할머니에게 버려두고 떠났던 어머니를 다시 만난다. 하지만 어머니는 너의 몰골이 내 딸이라 하기에 부끄러우니 썩 꺼지라고 서서평을 내쳤다. 평생 어머니의 사랑을 받지 못했지만, 서서평은 수양딸 13명과 나환자의 아들 1명 등 14명의 한국 아이를 입양해 기른 조선의 어머니이기도 했다. 그냥 데려다 기르기만 한 것이 아니라 좋은 곳으로 시집가도록 돕고, 소박이라도 맞으면 자활할 수 있도록 돕는 것도 그의 역할이었다.


나환자 530명과 행진

1933년에는 서서평은 조선인 목회자 등 동역자들과 함께 50여명의 나환자를 이끌고 서울로 행진을 시작했다. 강제 거세 등으로 나환자들의 씨를 말리는 정책을 펴고 있던 일제 총독부에 나환자들의 삶터를 요구하기 위해서였다. 소식을 들은 전국 각지의 나환자들이 이 행진에 합류했다. 서울의 총독부 앞에 이르렀을 때 동참한 나환자들의 숫자는 530여명에 달했다. 결국 총독부도 두 손을 다 들었다. 소록도 한센병환자 요양시설과 병원은 이렇게 시작됐다.


장례행렬 나환자들 어머니부르며 오열

최초의 광주시민사회장으로 장례를 치를 땐 수천의 광주 시민과 나환자들이 쫓아 나와 어머니를 부르며 오열했다


당시 한 일간지는 사설에서 백만장자의 귀한 위치에서 하인을 두고 차를 몰고 다니는 선교사들, 동족의 비참한 생활에 눈감고 오직 개인 향락주의로 매진하는 신여성들이 양심에 자극을 받길 바란다고 썼다


그가 한국 땅을 밟은 지 100년을 맞은 해에 기념사업회가 세워졌다. 양창삼 한양대 명예교수의 조선을 섬긴 행복”, 양국주 씨의 바보야, 성공이 아니라 섬김이야!”등 평전 2권이 세상에 나왔다. 재미교포인 양국주 씨는 미 재무부 등록 전쟁, 재난 구호 NGO “열방을 섬기는 사람들대표로 활동 중이다. 그는 서서평 선교사는 남자가 아닌 독신여성, 목사가 아닌 평신도, 의사가 아닌 간호사라는 이유로 잊혀 있었다


유산 놓고 다투는 부잣집 자식들처럼 가진 게 너무 많아 근심뿐인 한국교회가 다시 돌아봐야 할 분이라고 했다. “여수 애양원에서 나환자를 섬겼던 손양원 목사의 삶, 그리고 서서평 선교사의 삶. 이것이 기독교입니다. 이게 원본입니다. 지금 기독교는 대응되는 실제가 없는 공허한 단어로만 말해지고 있습니다


믿음은 논리가 아닙니다. 삶이며 생명 그 자체입니다. 믿음은 늘 구체적인 삶의 용솟음입니다. 손양원과 서서평이라는 믿음의 원본을 다시 갖게 된 것을 감사합시다. 한국교회는 이 자리로 돌아와야 합니다. 출발점에서 다시 시작해야 합니다.”

 

 


Articles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TAL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