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세상에 속하지 않는 만왕의 왕

 

PhotoFrame_1419357862505.jpg

 

동방박사들이 헤롯 궁을 찾아간 것은 상식적인 판단 때문이었다. 그들은 생각하기를 왕은 당연하게 왕궁에서 태어 날 것이라고 생각했을 것이다. 종교인들이 신앙의 길에서 상식적으로 선택하는 것은 엄청난 죄를 범할 수 있다. 지금도 수많은 그리스도인들이 왕궁에서 예수를 만나려고 한다. 그래서 화련 한곳과 높은 곳을 찾아다니고 있지 않는가?

크리스마스 츄리로 휘황찬란하게 장식되고 스피카에서 케롤이 울려 퍼지는 곳에서 예수님의 탄생을 위한 축하의 모습들이 지구촌에 울러 퍼지고 있다. 지금도 물질적 힘과 권세를 자랑하는 땅에 속한 왕들, 이런 사고방식을 가진 사람들이 유대인들이 가진 메시야 사상과 같은 것이라고 볼 수 있지 않은가?.

...

예수를 믿어 경제나 명예나 권세를 얻는 것으로 만족하는 신앙이라면 분명 헤롯 당시 종교계나, 정치계의 지도자들과 같은 것이라고 생각해 볼 수 있다. 그런데 예수는 분명 왕으로 오셨다. 그러나 세상에 속한 왕은 아니시다(요 18:36-37). 이때 예수님은 내가 세상에 속한 왕이 아니라고 했을 때 빌라도가 다시 물었다. “그러면 네가 왕이 아니냐?” 예수님의 대답은 “네 말과 같이 내가 왕 이니라”고 하신 것이다. 여기서 예수님이 말씀하신 왕에 대한 이해는 “진리에 속한 자는 듣는다. 라고 했다(요 18:36-). 그러나 지금도 진리에 대해서 이해를 못하고 있는 것이 기독교 세계가 되었다는 것이다.

이해를 못한 결과는 예수가 왕이신 것을 부인하고 오직 종교의 신으로만 존재하게 만든 것이 지금의 세상이고 기독교의 실상이 되고 말았다고 느껴진다.예수는 헤롯 궁궐에서 탄생하신 분이 아니라 작고 작은 고을 베들레헴 마구간에서 태어나셨다. 그러나 세상에 속한 왕은 왕궁에서나 호화스러운 환경에서 출생하지만 세상에 속하지 않은 왕은 짐승의 밥통인 우리에서 태어나셨다.

지금이라도 분명하게 예수님에 대한 인식을 바르게 해야 한다. 예수는 종교의 신도 아니고 권세를 부리는 이 세상. 이 땅의 왕도 아니다. 예수는 분명 왕이시되 세상에 속한 왕이 아니시다. 고대광실 높은 집에서 아니다. 높은 빌딩에서도 아니다. 초라한 곳 짐승들이 사는 소외된 곳에서 만왕의 왕이 탄생하신 것을 어떻게 이해하고 받아드려야 할 것인가? 시대적인 배경이 역시 달라도 만왕의 왕은 분명히 자기 땅에 오셨다. 그러나 "자기 백성들은 영접하지 않았다"(요 1:11)고 요한은 외쳤다.

이 시간도 양심적으로 도덕적으로 깨끗하고 법이 없어도 살아가는 자에게 아니라 죄 많은 불쌍한 사람들의 마음에서 예수님은 탄생하시기를 원하신다는 것을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한번 생각해 볼만한 과제라고 생각해 보지 않을 수 없다. "나는 의인을 부르러 온 것이 아니라 죄인을 부르러 왔다"(마 9:13)고 하셨다. 그리고 세상에 오신 목적가운데 하나는 "섬기려 하고 자기 목숨을 많은 사람의 대속 물로 주려 함이니라"(막 10;45)고 했다.

이 분이 바로 만왕의 왕이심을 믿고 모든 죄인 된 사람들이 만왕의 왕을 마음으로 믿고 영접해서 진정으로 복된 성탄의 계절이 되었으면 하는 마음 간절하다.

<일본선교사 이응주 목사 부부>


  1. 열매의 계절을 즐기면서(이응주 목사)

    열매의 계절을 즐기면서 이응주 목사 열매의 계절을 맞이하여 각가지 맛있는 과일을 먹고 즐기는 시간들이 많아졌다. 색갈도 다양하다. 빨강섹 노랑색, 검은 색, 자주색, 고동색, 겉은 푸르지만 속은 붉은 색, 겉은 붉은 색이지만 속은 흰색 등 각 종 열매들...
    Date2014.11.18 Bykim
    Read More
  2. 사랑의 소리가 들려지는 계절

    "사랑의 소리가 들려지는 계절" 나도 너도 사랑 결핍증에 걸려 있다. 세상에 수 많은 소리 가운데 사랑 없는 소리가 시끄럽고 야단들이 아닌가. 슬픈 일이다. 아니 슬픈 내용이다. 많은 사람들이 사랑이 무엇이 길래 그렇게 사랑을 구하고 있는가? 사랑은 생...
    Date2014.12.02 Bywgma
    Read More
  3. 작은 진실의 힘(이응주목사)

    작은 진실의 힘  오늘날 감격이 사라져 버린 시대라고 한다. 그래서 웬만한 큰 사건이나 위대한 일이 아니면 사람을 감격시키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실상 가장 진실한 사람은 조그마한 일에도 감격할 줄 아는 사람이라는 것이다. 그래서 우리는 감격의 정서...
    Date2014.12.11 Bywgma
    Read More
  4. 나의 나 된 것은 하나님의 은혜라

      나의 나 된 것은 하나님의 은혜! 이응주목사 한 인간이라는 작품이 일생동안 미완성품으로 성장 혹은 만들어져 가는 것은 그렇게 쉬운 모습만은 아니다. 일 년은 사계절이 있듯이 유아기를 거쳐 청소년, 청년, 중연, 장년, 노년기를 거치는 동안 천천히 모...
    Date2014.12.18 Bywgma
    Read More
  5. 세상에 속하지 않는 만왕의 왕 (이응주목사)

    세상에 속하지 않는 만왕의 왕 동방박사들이 헤롯 궁을 찾아간 것은 상식적인 판단 때문이었다. 그들은 생각하기를 왕은 당연하게 왕궁에서 태어 날 것이라고 생각했을 것이다. 종교인들이 신앙의 길에서 상식적으로 선택하는 것은 엄청난 죄를 범할 수 있다. ...
    Date2014.12.23 Bywgma
    Read More
  6. 예수님의 요구는 교회인가, 나라인가?

    하나님 나라에 대한 소고 예수님의 요구는 교회인가, 나라인가? 예수께서 자기를 믿는 자들에게 요구하신 말씀은 교회를 구하라 했을까, 나라를 구하라 했을까? 이 문제는 오늘의 교회문제가 교회 안에서 만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문제로까지 확대되어 가고 있...
    Date2014.12.25 Bywgma
    Read More
  7. 두 개의 현주소?

    Ung Joo Lee 두 가지 현주소? 사람들은 두개의 현주소를 가지고 있다. 하나는 보이는 건물중심이고 다른 하나는 보이지 않는 영적주소다. 두 개의 현주소 중요하다. 사람들은 매일의 생활을 반복으로 삶을 살아가면서 현주소로 돌아온다. 현주소는 일시적인 안...
    Date2014.12.26 Bywgma
    Read More
  8. 가라지(毒麦,Weed)

    가라지(毒麦,Weed) 가라지(毒麦,Weed)란 강아지 풀을 말하나 성경에서는 독을 가진 보리와 같은 잡초를 말한다. 모양은 밀과 비슷하나 이삭이 나면 구별이 뚜렷해진다. 예수님은 밭에 뿌려진 가라지 비유를 통해 지상교회에서 하나님의 백성들이 거짓 성...
    Date2014.12.27 Bywgma
    Read More
  9. (1)교회란 말의 출발

    (1)교회란 말의 출발 예수께서는 단 한 번도 교회를 건축해라, 세워라, 설립해라 하신 적이 없다. 교회란 말은 신약에 와서 쓰여진 말인데,(구약에서는 성립될 수 없는 말), 이 말씀은 마태복음 16장 18절에서 예수께서 최초로 쓰신 말이다. ‘내가 네게 이르...
    Date2014.12.29 Bywgma
    Read More
  10. 참 빛과 어두움 (마 5;14, 요 3;19-20, 1;8-9)

    참 빛과 어두움 (마 5;14, 요 3;19-20, 1;8-9) 세상에 두 가지의 내용으로 갈라진 모습들을 볼 수 있다. 빛의 세계는 천국이라고 생각하게 되고 어두움은 지옥의 세계라고도 생각해 볼 수 있다. 밝게 사느냐 어둡게 사느냐? 사람들은 두 가지 갈림길에서 선택 ...
    Date2014.12.29 Bywgma
    Read More
  11. 그곳 이름을 길갈이라 (여수 5;1-12)

    그곳 이름을 길갈이라 (여수 5;1-12) 출애굽한 이스라엘 백성들이 광야생활 40년을 마치고 드디어 약속의 땅 기름진 가나안에 들어가기 위해서 건너야 할 요단강이 있었다. 요단강을 건너가기 위해서 순서가 있다. 첫 번째 법궤를 가지고 있는 제사장들이 법궤...
    Date2014.12.30 Bywgma
    Read More
  12. 남을 가르치지 말고 (이응주 일본선교사)

    남을 가르치지 말고 수일 전 글을 써서 함께 공유하고자 지인들에게 홍보하였다. 그 중에 어떤 분이 댓글로 남을 가르치려고 하지 말라, 그리고 앞으로 글을 보내지 말라는 내용이었다. 가르치는 자가 범하기 쉬운 것은 가르친 대로 자기는 살지 못하기 때문...
    Date2015.01.02 Bywgma
    Read More
  13. 예수는 종교의 신인가, 나라의 왕인가?

    예수는 종교의 신인가, 나라의 왕인가? 예수님은 종교의 신이여야 하는가, 나라의 왕이어야 하는가? 지금의 교회당교회의 시스템에서 예수는 종교의 신(神)이 되어 있다. 그래서 예수는 믿는 자들의 경배의 대상으로서 섬김을 받으시는 자리에 계신 것이다. ...
    Date2015.01.03 Bywgma
    Read More
  14. 수치가 굴러가게 하였다

    수치가 굴러가게 하였다 여호수아 5:1-12 사람이라면 모두가 감추어진 수치가 있다. 내용에 따라서 다르지만 사람들에게 수치라는 검은 점을 마음에 찍힌 대로 혹은 생각에 박힌 검은 점과 같은 내용을 가지고 한평생 비밀로 감추면서 살아가는 것이 인간 세...
    Date2015.01.05 Bywgma
    Read More
  15. 기도에 대한 소고

    기도자 학교에서는 우등생이라도 1. 기도의 정의 ‘너희가 내 안에 거하고 내 말이 너희 안에 거하면 무엇이든지 원하는 대로 구하라’!(요 15:7)라고 했다. 여기 ‘무엇이든지 원하는 대로 구하라’는 말씀 앞에 조건적인 내용이 있다. ‘무작정’ 무엇이든지 원하...
    Date2015.01.10 Bywgma
    Read More
  16. 하나님 나라에 대해서

    하나님 나라에 대해서 1. '하나님 나라'라는 말에 대한 반응 예수님의 요구는 교회가 아니라 '하나님 나라'란 말도 해왔다. 그런데 놀라운 것은 하나님의 백성들이라 하는 사람들의 반응은 '하나님 나라'라는 말에 대해 신경질적인 반응을 보인다는 것이다. 왜...
    Date2015.01.11 Bywgma
    Read More
  17. 왜 왕국건설을 놓고 전쟁을 해야 할까?

    왜 왕국건설을 놓고 전쟁을 해야 할까? 앞에서 잠깐 요한 계시록 이야기를 했는데, 다시 여기서 논하려고 한다. 요한 계시록을 성경으로 인정한다면 이제는 계시록의 기록들에 대해서 관심을 가지고 검토를 해야 한다. 앞에서 말한바와 같이 요한 계시록은 구...
    Date2015.01.14 Bywgma
    Read More
  18. 하나님의 계시 활동

    하나님의 계시 활동 끝으로 하나만 더 말씀을 드리고 마치려 한다. 앞에서부터 여러 가지들을 이야기 해왔다. 이 글을 읽으면서 황당하다는 생각을 가진 사람들이 많을 것이다. 그렇게 생각하는 것은 지금의 교회당교회의 틀에서 한평생을 별 탈 없이 살아왔...
    Date2015.01.16 Bywgma
    Read More
  19. 새 부대가 무엇인가?

    새 부대가 무엇인가? 교회개혁의 대안으로 새 포대가 무엇이냐? 하지만 먼저 이해해야 할 부분은 지금까지 가지고 있는 교회당교회란 인식을 가지고는 쉽게 이해 될 수 있는 것이 아니란 걸 먼저 이해를 해야 한다. 새 부대란 말씀은 예수께서 하신 말씀으로 ...
    Date2015.01.16 Bywgma
    Read More
  20. 너희는 그리스도의 편지라

    1. 기다려지는 편지 하루에도 몇 번이나 편지통을 확인하는 버릇이 있다. 어디서 누구로부터 나에게 관심을 가지고 보낸 편지인가에 대해서 기다려진다. 그래서 편지가 국내외적으로 보내올 때마다 먼저 발신자가 누구인가에 관심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편지...
    Date2015.01.25 Bywgma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Next
/ 9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게임방, 학교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

TAL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