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갑’의 해가 가고 ‘을’의 해가 오다 - 노승환 목사

        

노승환목사.png

 

간지 달력은 10개의 ‘천간’(天干)과 12개의 ‘지지’(地支)를 순서대로 결합해서 연도를 표기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2014년이 ‘갑오’년이고 2015년 새해는 ‘을미’년입니다. 내년 2016년은 어감이 좀 오해가 있을만한 ‘병신’년이 된답니다. 

 

10개의 ‘천간’이 ‘갑을병정무기경신임계’(甲乙丙丁戊己庚辛壬癸)의 순서로 나아가기에 ‘갑’이 ‘을’을 앞섭니다. 그래서 ‘갑’과 ‘을’이란 표현은 원래는 순서상 첫째, 둘째 혹은 전자, 후자의 뜻을 가지는 것인데 이제 흔히 일상에서 ‘갑’은 ‘상’을 ‘을’은 ‘하’를 나타내는 표현이 되었습니다. 그렇게 요즘 들어 ‘갑’과 ‘을’의 관계는 상하관계로 흔히 묘사됩니다. ‘갑’은 높은 자리에 앉은 힘을 가진 자로, ‘을’은 ‘갑’의 횡포마저 참고 그 비위를 맞추어 주어야 하는 힘없는 사람을 상징하게 된 것입니다. 

 

2014년이 ‘갑’의 해였기에 그렇게도 ‘갑’들의 ‘갑질’이 도를 넘었던 것일까요?

굳이 “땅콩 회항”에 대해 이런저런 토를 달지 않아도 한국문화에 비일비재한 ‘갑’의 횡포에 대해 이미 저희는 익숙합니다. 주로 “내가 누군지 알아?”로 이들의 ‘갑질’은 시작하지요. 사실 진짜 ‘갑’은 “내가 누군지 알아?”를 외칠 필요도 없는데 말입니다.  

한국문화에서는 나이가 위인 것도, 돈을 조금 더 가진 것도, 지위가 조금 더 높은 것도 다 ‘갑’이 될 기회들을 만들어 줍니다.  

 

untitled.png

 

‘갑’들의 이런 큰소리에 ‘을’들은 주로 침묵하고, 마음에 상처를 쌓아두고, 돌아서서 눈물을 흘렸습니다. 이러한 ‘갑’과 ‘을’의 불공평함이 한국 사회에만 일어나는 현상일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죄인 된 인간들이 모여 이룬 모든 사회에는 필연적으로 나타날 수밖에 없는 모습입니다. 인간이 가지는 근원적인 ‘죄’ 문제가 해결되지 않고는 이 ‘갑’과 ‘을’의 문제는 풀리지 않을 것입니다.

 

‘죄’ 문제의 해결사이신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께서 주인으로 임하시고 통치하시는 개인과 가정, 교회와 사회에서만 진정으로 이 ‘갑’과 ‘을’은 공평함을 누릴 수 있을 것입니다.

 

누가복음 1장에 처녀로서 메시아를 임신하였음을 안 마리아가 이런 찬가를 부릅니다. “그의 팔로 힘을 보이사 마음의 생각이 교만한 자를 흩으셨고, 권세 있는 자를 그 위에서 내리치셨으며 비천한 자를 높이셨고, 주리는 자를 좋은 것으로 배불리셨으며 부자는 빈손으로 보내셨도다.” (눅 1:51-53).

 

마음의 생각이 교만한 ‘갑’, 권세 있는 ‘갑’, 부자 ‘갑’은 흩어짐과 내리침과 빈손으로 보냄을 당할 것입니다. 반면에 비천한 ‘을’, 주리는 ‘을’은 높아지고 배불려질 것입니다. 예수께서 이 땅에 오심으로 이러한 대반전이 일어날 것입니다.

 

untitled.png33.png

 

진정한 ‘을’의 해는 이렇게 예수 그리스도와 더불어 오게 될 것입니다.  

혹이라도 세상의 눈으로 보기에 ‘갑’의 자리에 서게 된다하더라도 저희는 ‘을’의 자세를 잃지 말아야 할 것입니다. 누구보다 교회에서는 ‘갑’일 수 있는 담임목사인 저 자신에게 하는 말이고, 장로님들과 직분을 가지신 분들에게 드리는 말씀입니다. 예수 믿는 사장님, 예수 믿는 직장 상사, 예수 믿는 어른신들, 예수 믿는 부모, 시부모에게 드리는 말씀입니다. 예수 믿는 ‘갑’은 ‘갑질’이 아니라 ‘을질’을 하셔야 합니다. ‘먼저 된 자는 나중 되고, 나중 된 자가 먼저 될 것’이라는 말씀을 저희는 늘 기억해야 할 것입니다.  

 

그러기 위해 이제 2015년 ‘을’의 해를 맞아 무엇보다 하늘 보좌 (‘갑’의 자리)를 버리시고 비천한 인간으로 (‘을’의 모습)오신 주님을 마음과 삶 가운데 영접해야 됩니다. ‘갑’중의 '갑‘이시나 우리를 위해 ‘을’중의 ‘을’이 되신 예수님과의 동행이 있어야 합니다. ‘을미년’ 양의 해에는 우리 죄를 짊어지고 십자가에 달리신 어린 양 예수님과 깊은 인격적인 사귐이 있으시는 사랑하는 밀알가족 모두가 되시기를 기도합니다

images.jpgㅜㅜㅜ.jpg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881 [권혁승 목사] 날마다 말씀따라 새롭게, 작은 것(메아트) 속에 나타난 하나님의 위대함(세굴라) file kim 2017.03.01
880 [권혁승 목사] 내 길에 빛이 되시는 하나님 말씀 file kim 2017.06.25
879 [권혁승 목사] 내 발에 등이 되시는 하나님 말씀 file kim 2017.06.01
878 [권혁승 목사] 너는 내 앞에서 행하여 완전하라!는 말씀의 의미 file kim 2017.02.01
877 [권혁승 목사] 말씀으로 양육하는 자녀(6) 이스라엘의 쉐마 신앙교육 file kim 2017.12.18
876 [권혁승 목사] 샬롬의 복(2) 샬롬의 통전성과 시편 23편 file kim 2017.04.06
875 [권혁승 목사] 샬롬의 복(3), 샬롬의 공동체성과 사회적 책임 file kim 2017.05.04
874 [권혁승 목사] 샬롬의 복(4) 샬롬 지향 신앙과 시대적 사명 file kim 2017.05.14
873 [권혁승 목사] 성서와 땅(2) 땅과 인간의 임무 file kim 2017.08.10
872 [권혁승 목사] 신앙과 지혜 file kim 2017.05.25
871 [권혁승 목사] 신앙교육의 산실, [베이트 아브] 구약시대의 가정 아버지의 집 이해(7) file kim 2018.01.18
870 [권혁승 목사] 신앙의 본질인 생명, 그 성장의 중요성 file kim 2017.03.22
869 [권혁승 목사] 신앙의 아름다움, 공동체의 아름다움 file kim 2017.03.31
868 [권혁승 목사] 아담의 직업은 무엇이었을까? file kim 2017.06.07
867 [권혁승 목사] 아버지(아브)는 누구인가? 구약시대의 가정, 아버지의 집 이해(2) file kim 2017.08.27
866 [권혁승 목사] 아버지의 집(베이트 아브)은 어떻게 구성되는가? 구약시대의 가정, 아버지의 집 이해(3) file kim 2017.09.07
865 [권혁승 목사] 여호와 사랑의 구체적인 실천 강령 이스라엘의 쉐마 신앙교육(5) file kim 2017.11.14
864 [권혁승 목사] 여호와를 사랑하라, 이스라엘의 쉐마 신앙교육(4) file kim 2017.10.28
863 [권혁승 목사] 영적 무감각의 병 file kim 2017.01.26
862 [권혁승 목사] 이스라엘의 쉐마 신앙교육(2) file kim 2016.04.29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47 Next
/ 47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게임방, 학교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

TAL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