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대학에 50억원 기부한 억척 할머니, 윤혜성 권사

by kim posted Jan 14, 201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평택대학에 50억원 기부한 억척 할머니, 윤혜성 권사

피어선 선교사의 정신이 흐려지지 않도록 써 주십시오


 윤혜성권사.png


욕쟁이 할머니, 곰탕집 할머니, 삯바느질 할머니, 젓갈 할머니. 1977년 충북대에 전 재산을 기부하고 고인이 된 김영례 할머니를 시작으로 우리 사회 기부 행사에 할머니들의 행렬이 끊이지 않는다. ‘억척 할머니라 불리는 이들은 콩나물 장사, 이불 행상, 잡일 등 가리지 않고 평생 번 돈을 각종 단체나 학교에 적게는 1,000만 원에서 많게는 수십 억 원에 이르는 재산을 기부했다.


평팩대학교.jpg


평택대학에 토지 만평(50)을 기부

1997128일 윤 권사는 경기도 평택에 위치한 평택대학에 토지 11,000평을 기부했다. 시가 50억 원에 상당하는 규모였다. 윤 권사의 모교인 피어슨기념성경학원이 평택대학의 전신이다


피어슨 선교사의 정신이 흐려지지 않도록 써 주십시오라는 것이 기부한 동기이다. 평양이 고향인 윤 권사가 단신 월남해 모은 돈으로 산 귀한 재산이다. “얘기할 것도 없어. 전 재산을 내놓은 것도 아닌데.” 


억척 할머니들 어느 누구도 나 이만큼 냈어요하고 얼굴 내보이는 경우가 없듯, 윤 권사도 무엇 드러낼 게 없다며 얼굴을 붉힌다. 젊은 시절 하루도 쉬지 않고 일한 터인지라 거동은 좀 불편하지만, 얼굴은 흑백 증명사진 속의 그때처럼 여전히 곱다. 윤 권사의 안방 옷장에는 몇 벌 되지 않는 옷가지들만 봐도 지나온 세월을 짐작하고 남는다. 윤 권사는 장신구는 일체 착용하지 않고 늘 검소하게 살아왔다.


장갑 장사에서 미군 빨래까지

윤 권사는 어려서부터 평양 장대현 교회에서 신앙생활을 했다. “가난한 사람, 어려운 사람을 돕고 싶은 것이 본마음이라는 그는 의사가 되어 선교 사역에 나서는 게 꿈이었다. 가족들을 떠나 홀 홀 단신 남쪽으로 내려온 것도 이 때문이다. 그때 손에 쥔 것이라곤 금 두 냥이 전부였다


열일곱 나이에 집안의 권유로 결혼한 상태였다. 경찰 관계 일을 하던 남편은 먼저 내려와 있었고 나중에 윤 권사가 내려와 함께 살았다. 1949년 윤 권사는 의학 공부가 여의치 않아 월남과 동시에 피어슨기념성경학원에 입학했다. 그것도 잠시, 6·25 발발과 함께 윤 권사의 또 다른 인생 여정이 시작되었다


전쟁 터졌을 때 가진 거라곤 뜨개실 두 뭉치였어요. 그걸로 시작했지요.” 윤 권사는 갓난 아들을 데리고 혼자 전쟁을 감당해야 했다. 경찰이었던 탓에 남편의 어깨는 윤 권사의 몫이 아니었다


손에는 실 뭉치 둘, 등에는 갓난아기를 덧대고 대전으로 내려갔다. 1951년의 일이다. 잠이 오지 않는 밤에 장갑을 떠서 내다 팔았는데, 겨울철이라 사람들이 너나없이 찾았다. 그 돈으로 다시 실을 사서 장갑 장사에 나섰다. 두 식구의 생계 수단이었다. 좀 더 안정적인 일을 찾던 그는 근처 미군 부대에서 할 일을 발견했다. 그에게 주어진 일은 빨래였다


추운 겨울 찬물에 언 손을 비비며 산더미 같은 빨래를 해내느라 온몸이 동상에 걸렸다. 손발은 물론이고 코, 어깨, 등 성한데 없이 몸을 부려가며 번 돈이 쌀 다섯 가마였다. 그것이 본격적인 장사 밑천이 되었다. 그리고 부산에 중고 재봉틀을 구입해 구제품으로 아동복을 만들었다. 처음 해본 일에도 꽤 근사하게 만들어졌다. 장갑을 팔 때처럼 반응이 좋아 웬만큼 돈이 모였다


그 돈으로 금을 샀어요. 안 먹고 안 입고 안 자고 일만 했어요. 한 돈씩 모은 게 열 냥이 되었어요.”


선교와 장학 사업에 관심

거실 한 켠에 가득 쌓인 성경들처럼 힘든 시간들을 혼자 이겨내는 동안 얼마나 하나님께 부르짖었을까. 그러면서도 한 번도 잊지 않는 한 가지는 선교 사역에 대한 꿈이었다. 금 열 냥으로 헌 집을 사서 수리해 팔기 시작해 큰돈을 모았다


당시 출석하던 교회 목사님이 이런 그를 보고 좋은 일에 투자할 것을 제안하였고, 그게 윤 권사가 장학 사업을 생각하게 된 배경이다. 1980윤혜성 장학회를 설립하고 1년에 두 차례씩 학생 10명에게 각기 30만원씩 보조했다. 기독 대학과 신학 대학에 다니던 학생들을 중심으로 누구의 도움도 없어 생활이 어려운 학생들을 직접 선별해 후원하였다


1997년까지 계속된 장학 사역은 현재 형태를 달리해 헤브론 수양관이라는 실물로 남아 있다. 장학금만 지급하다 보니 안타까운 일이 너무 많아 같은 공간에 살면서 돕는 것이 낫겠다고 판단, 청소년들의 신앙 훈련을 위한 센터를 건립했다.


자신의 토지를 교회들에게 기부

윤 권사가 자신의 토지를 기부한 것이 평택대가 처음은 아니다. 몇몇 교회에도 토지를 기부한 적이 있다. 서울 방초교회도 윤 권사가 기부한 200평대지 위에 건물을 세울 수 있었다


19815월의 일이다. “네 재물과 네 소산물의 처음 익은 열매로 여호와를 공경하라는 말씀을 따라 처음 구입한 땅을 하나님께 드렸다. 처음 드린 그 땅이 방초교회 부지이다. 그리고 출석교회인 퇴계원 동부교회도 윤 권사가 기부한 땅 위에 건물을 올렸다. 이렇게 할 수 있었던 데는 아들의 이해가 크게 작용했다


지금 아들은 미국에서 공부 중인데, 첫아들을 병으로 잃고 서른일곱에 얻은 유일한 피붙이다. “어머니가 고생해서 번 돈이니 어머니 생각대로하세요라고 말했다는 아들 내외의 사진이 거실에서 윤 권사를 보고 웃고 있다.


하나님께 돌려드린 것일 뿐

윤 권사의 나눔은 사람을 위한 것이지만 실상은 믿음의 고백이다. 하나님께서 자신에게 주신 힘겨운 인생을 눈물과 원망이 아닌 열매 주심을 감사해 고백하는 것이다. “대학에서 쓸 부지와 교회 세울 땅 그리고 장학금 조금이라는 그는 하나님의 것을 하나님께 돌려 드린 것뿐이라고 단언한다


앳된 열일곱에서 할머니가 된 윤혜성 권사의 젊은 날은 아들과 함께 먹었을 끼니들, 욕심내지 않고 하나님께 돌렸다. 하나님의 것을 하나님께 드리고, 자신이 가진 것으로 나눔을 자랑하지 않는다


노 권사가 평생을 통해 배운 천국의 진리는 거저배운다. 나눔은 주는 것도 받는 것도 아닌 나눔 자체만으로 있을 뿐이라는 성경의 가르침을 되새겨 본다.

 


Articles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TAL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