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철목사 논단
세워진 권위 4
[로마서 13:1-2] 각 사람은 위에 있는 권세들에게 복종하라 권세는 하나님으로부터 나지 않음이 없나니 모든 권세는 다 하나님께서 정하신 바라. 그러므로 권세를 거스르는 자는 하나님의 명을 거스름이니 거스르는 자들은 심판을 자취하리라.
권위는 누구 또는 무엇으로부터 부여받은 것이다. 스스로 세운 권위는 오직 하나님 자신일 뿐이다. 그리고 하나님이 직접 부여한 곧 하나님으로부터 세워진 권위는 부모일 뿐이다. 하나님이 직접 부여하여 세워진 권위는 어떠한 이유라도 부정해서는 안된다. 왜냐면 그것은 하나님에 대한 도전이기 때문이다. 그러기에 권위에 대하여 어떻게 하여야 하는가는 부모에 대하여 자녀가 어떻게 대하여야 하는가에 들어있다. 에베소서 6:1-2에 그 답이 들어있다. “자녀들아 주 안에서 너희 부모에게 순종하라 이것이 옳으니라. 네 아버지와 어머니를 공경하라 이것은 약속이 있는 첫 계명이니”
공경하라
부모는 하나님이 부여하여 세워진 권위를 가진다. 그러나 부모외의 국가를 포함해서 세상의 모든 제도에 있어서는 어떤 개인에게 하나님이 권위를 부여하신 것이 아니라 질서에 부여하시고 제도적 질서를 따라 세워진 자리가 가진 권위를 하나님의 주권 하에 두셨다. 그럼 세상의 제도가 가지는 자리에서 나오는 권위는 누가 부여하는가? 민주정치에 있어서는 최고 권력자가 가지는 권위는 국민이 부여한다. 그리고 국민은 자신들이 부여한 권위자들을 존경하여야 한다. 그 권위가 권위로 나타날 수 있도록 협력하여야 한다. 하나님이 부여하여 세워진 부모의 권위에 자녀들은 공경하라고 명한다. 곧 존경하라는 것이다. 공경 곧 존경은 어떤 이유가 없다. 내 마음에 들고 안들고의 문제가 아니다. 어떤 이유가 되었든지 부여된 권위는 존경받아야 한다. 내가 투표하지 않았더라도 민주정치의 다수결에 따라 세워진 대통령은 존경받아야 한다.
주 안에서 순종하라
그러나 순종의 문제는 다르다. 부모가 문제가 있더라도 공경과 존경을 받아야 할 권위를 가지고 있지만 성경은 순종은 주 안에서 하라고 명령한다. 부모가 자녀에게 잘못된 것을 하라고 했을 때는 거절할 수 있다는 이야기다. 이것을 민주정치에서 한 나라의 최고 권력자에게도 똑같이 적용된다. 민주정치에서 주권은 국민에게 있다. 그런데 최고의 권력자가 국민이 아닌 개인의 욕심을 채우기 위하여 자신의 권력을 사용한다면 국민은 항의할 수 있다. 왜냐면 그 권위의 자리는 국민이 주었기 때문이다. 왕정과는 달리 민주정치에 있어서는 최고의 권력자라 할지라도 법 아래 있다.
믿는 자의 입장에서는 세상의 법보다 더 상위에 있는 성경의 법을 어기라고 국가가 명령한다면 당연히 거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때는 조심하여야 한다. 세상의 국가는 기독교 국가가 아니다. 한국은 당연히 기독교 국가가 아니다. 미국 역시 기독교 정신으로 세워지긴 했지만 기독교 국가는 아니다. 기독교인이 많을 뿐이다. 만일 국가의 법이 성경의 법을 어기도록 한다면 그것은 개인적으로 거부하고 그것으로 주어지는 고난은 당할 수밖에 없다. 성경의 법과 세상의 법이 대치할 때는 그리고 세상의 법으로 기독교인을 핍박할 때는 세상의 권력 역시 하나님의 주권 하에 있으므로 하나님의 손에 맡겨야 한다. 이슬람 국가에서 기독교인은 주어진 핍박을 받을 수밖에 없다. 국가에 항의할 수 없다. 하나님의 심판에 맡겨야 한다.
그러나 어느 누구도 한 국가의 질서를 세워주는 헌법을 초월하여 있을 수는 없다. 권력이 헌법을 초월하여 사용할 때는 국민은 그 권위를 거절하고 항의할 수 있게 된다. 왜냐면 하나님은 어는 개인에게 권위를 준 것이 아니라 국민이 부여한 권위를 질서를 위해 허용한 것이기 때문이다. 하나님이 허용했다고 그 권위가 정당성 가졌다는 것이 아니다. 헌법에 준한 법 안에서 국민은 세상의 권위에 순종한다. 어떠한 권위자도 권력자도 권세자도 국가가 집단이 스스로 세운 법위에 군림할 수는 없다. 존경하되 순종의 문제는 다르다. 법을 어긴 권위에는 항의할 수 있다.
그렇다면 로마서 13장 위에 있는 권위에 복종하라는 이야기는 어떻게 이해하여야 하는가? 다음 호에 분명히 정리하게 될 것이다.
김성철목사 논단
세워진 권위 5
[로마서 13:1-2] 각 사람은 위에 있는 권세들에게 복종하라 권세는 하나님으로부터 나지 않음이 없나니 모든 권세는 다 하나님께서 정하신 바라. 그러므로 권세를 거스르는 자는 하나님의 명을 거스름이니 거스르는 자들은 심판을 자취하리라.
로마서 13장은 국가 권력에 어떠한 경우에도 복종할 것인가에 대한 논란을 일으켜 왔다. 로마시대였던 당시에는 황제가 모든 법 위에 군림하던 시대였다. 왕정이나 전제국가 시대에는 왕이 최고의 권력자였다. 그러나 이제는 민주주의 정치가 실행되는 시대에 살고 있다. 법률상 최고의 권력자는 대통령이 아니라 국민이다. 대통령을 비롯해서 국가의 공무원은 국민을 위해 일하라고 위임받은 자들 일뿐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위에 있는 권세는 대통령인가, 국민인가? 이렇게 로마서 13장은 현재 상황에 맞추어 계속 논란을 불러 일으켰다. 특별히 기독교인으로서 로마서 13장은 어떻게 이해하여야 할까? 이 글을 기록한 사도 바울은 어떠한 심정으로 로마서 13장을 기록하고 있는가? 하나님은 어떠한 의도를 가지고 로마서 13장을 기록하라고 사도 바울에게 계시하고 있는가?
로마서 13장은 국가 권력에 대하여 복종여부를 말하고 있지 않다
로마서는 1-11장까지 구원의 복음에 대한 교리를 이야기 하고 있다. 그리고 12장부터 기독교이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를 이야기한다. 초대 교회는 여러 가지 고난에 직면하고 있었다. 외부적으로는 국가와 세상으로부터의 고난이 있었고, 내부적으로는 율법폐기론자들과 영지주의자들로부터 잘못된 가르침이 있었다. 로마서 12장 이후에 이야기되는 기독교인의 삶을 들여다 보자.
12장은 기독교인이 살아가는 삶의 원리를 제공한다. 하나님의 뜻을 분별하여 믿음의 분양대로 지혜롭게 살아가라. 우리는 여기에서 지혜라는 말에 주목하자. 지혜란 삶의 기술이다. 예수님은 우리가 이 세상에서 살아갈 때에 비둘기처럼 순결하고 뱀처럼 지혜로워야 한다고 말씀하셨다. 특별히 세상으로부터 고난을 감당해야 하는 기독교인들에게 악에게 지지 말고 선으로 악을 이기라고 권면한다.
13장은 국가 권력에 관한 것이 아니다. 기독교인이 세상에서 살아가는 지혜를 말하고 있다. 아직은 세상이 기독교를 용인하지 않고 있다. 특히나 로마의 황제를 주(Lord)로 인정하고 있는 시기에 기독교인은 오직 예수님을 주님(Lord)로 부른다. 당연히 고난이 뒤 따른다. 단순히 종교적 생각이 다르다는 문제가 아니다. 국가는 법이라는 무기를 가지고 있다. 법을 따르지 않으면 그에 대한 대가를 치루는 것이 법에 의해서 정당화 된다. 13장은 국가 권력자가 아닌 국가가 정한 법에 대하여 기독교인들이 어떻게 처신할 것인가에 대하여 이야기 하고 있다. 넓게 이야기한다면 세상 안에서의 지혜로운 삶이다.
14-15장은 기독교인들 서로간의 삶에 있어서 서로간의 믿음에 대하여 함부로 비판하지 말고 믿음이 강한 자가 믿음이 약한 자들을 감당하라고 권면하고 있다.
세상에서 기독교인이 살아가는 지혜로운 삶
로마서 13장은 국가 권력에 대하여 무조건 복종할 것인가, 아니면 저항할 것인가에 대한 이야기가 아니다. 로마서 13장은 기독교인들이 세상에서 지혜롭게 살아가는 삶에 대하여 이야기하고 있다. 로마서 13장의 이야기를 축약해서 잘 설명하고 있는 성경이 베드로전서 2:13-15이다. “인간의 모든 제도를 주를 위하여 순종하되 혹은 위에 있는 왕이나, 혹은 그가 악행하는 자를 징벌하고 선행하는 자를 포상하기 위하여 보낸 총독에게 하라. 곧 선행으로 어리석은 사람들의 무식한 말을 막으시는 것이라.”
베드로전서 2:15을 다시 보자. 선행으로 어리석은 사람들의 무식한 말을 막으라. 베드로는 하나님을 모르고 예수 그리스도 안에 있는 구원의 복음을 모르는 자를 어리석은 무식한 자라고 한다. 그렇다고 그들에게 어리석다 무식하다고 직설적으로 말할 수는 없다. 세상 어느 누구보다도 선한 행위로 그들의 비난을 막으라고 하신다. 이에 대하여는 예수님이 산상설교에서 말씀하신다. 세상은 기독교인들을 향하여 욕하고 박해하고 거짓으로 너희를 거슬러 모든 악한 말을 한다(마태복음 5:11) 하더라도 기독교인은 세상에서 소금과 빛의 사명을 감당함으로 기독교인들의 착한 행실을 세상 사람들이 보고 하나님께 영광을 돌려야 한다고 명한다(마태복음 5:16). 로마서 13장은 이러한 세상 안에서 선한 행위로 말미암아 지혜롭게 살아가는 삶에 대하여 이야기 한다. 무엇보다도 국가의 법을 충실히 지킴으로 세상 사람들로부터 비난을 받지 말아야 할 것을 권면하고 있다.
물론 국가라는 제도가 만들어 낸 법에 대하여 존중하되 주 안에서 순종해야 한다. 국가 권력이 예수님을 믿을 수 없게 하더라도 그 법을 지킬 수는 없다. 현제 이슬람 국가가 이에 해당한다. 낙태가 아무리 법으로 정당화 된다 하더라도 기독교인은 성경의 법을 따라야 한다. 특별히 동성애가 합법화 되었다 하더라도 기독교인은 이에 동의 할 수는 없다. 혹시라도 차별법에 의하여 법적 제재가 주어진다면 수용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성경의 법에 어굿나지 않는 한 기독교인은 이 세상 누구보다도 국가의 법에 충실함으로 세상의 비난에서 자유로워져야 한다. 로마서 13장은 이러한 예로 세금의 문제를 들고 있다. 당연히 기독교인은 하나님 나라에 속한 자이다. 그러나 여전히 세상 안에서 살아가는 자이다. 교회에 헌금을 하기에 세상 나라의 세금을 내지 않아도 되는 것은 아니다. 설혹 그 세금이 기독교인이 용납할 수 없는 곳에 쓰여진다 하더라도 그것은 어찌할 수 없다. 그 나라에 살고 있는 한 세금은 내야 한다. 예수님도 “가이사의 것은 가이사에게 하나님의 것은 하나님에게 바치라”(마태복음 22:21) 하셨다.
고린도전서 11장에 보면 여자들에게는 수건을 쓰라고 바울이 권면하는 기록이 있다. 지금도 중동의 여지들은 수건으로 얼굴을 가린다. 이와같이 여자들이 머리에 수건을 쓰고 얼굴을 가리는 것이 당시의 윤리였다. 아무리 예수님을 믿음으로 자유하였지만 당시의 윤리제도를 거슬리지 말고 충실하는 것이 기독교의 삶의 지혜라는 것이다.
세워진 권위
부모를 제외하고 이 세상의 권위는 어떤 사람에게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질서에 주어진다. 하나님은 타락한 세상의 질서를 허용하셨다. 세상의 질서에 따라 세상 나라의 권위는 사람이나 혈통이 부여한다. 특히 민주주의 국가는 국민 개개인이 주인인 나라이다. 그래서 선거라는 제도를 통해 특정한 자에게 권위를 부여한다. 부여한 자가 부여한 권위를 언제든지 박탈할 수 있다. 물론 선거라는 제도를 통해서 그리할 수 있지만 때론 데모라는 수단으로 국민들의 뜻을 표시하기도 한다. 그러난 분명히 기억할 것은 어떠한 인간의 권력이라도 하나님의 주권 하에 있다고 성경은 선언한다. 그 대표적인 성경이 다니엘서다.
하나님의 주권이 허용하고 있는 한에서 기독교인은 국가의 권세자들에게 부여된 권위를 존경하되 말씀 가운데서 순종하도록 성경은 명한다. 단 국가의 법이 세워져 있는 한 그 법을 따를 수밖에 없다. 성경이 명하지 않는 한 국가의 법에 기독교인들은 누구보다도 충실하여야 할 것이다. 로마서 13장은 세금 문제를 거론하고 있다. 그렇게 함으로 세상 사람들의 본이 되어야 한다. 성경은 국가에 대하여 무조건 복종하거나 저항하라고 명하고 있지는 않다. 그렇다면 기독교인이 잘못하고 있는 권위에 저항할 때는 어떠한 경우인가? 그것은 기독교인으로서 저항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한 나라의 주권자로서 저항하고 있는 것이다. 분명한 것은 로마서 13장은 결코 국가의 권력에 복종할 것인가 저항할 것인가에 대한 내용이 아니라는 것이다. 로마서 13장은 세상 안에서 살아가는 기독교인들의 지혜로운 삶에 대하여 말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