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The 3 Great Missionary Confusions

선교 현장에서 부딪히는 "엄청난 3대 혼란"

 image.jpg


복음연합에 게재된 맥 스타일즈의 글, Mack Stiles / May 31, 2017

 

If you lived in a reasonably sized city in the United States, and you gathered 100 Protestant pastors in one room, what would they be like?

 

There would be significant differences. Some would see their ministerial work anchored in the gospel, others would be out of biblical orbit, and, sadly, some would be unregenerate.

 

The same breakdown would be true for modern-day missionaries. Vast differences would exist among them—about what they do and why they do it. Sadly, some would be unregenerate.

 

Confusion over modern missions is why churches must ensure their missionaries have rock-solid missiological underpinnings before they ever set foot on the field.

 

I’ve been involved in missions work for three decades, and I’ve found three consistent and critical missionary confusions.

 

photo-1473508476344-269a87b502ee_opt.jpg

listen-to-this-22-year-old-missionary-2.jpg


선교사들은 현장에서 어떤 어려움을 겪고, 또 그것을 극복하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할까? 중동 등에서 30년 이상의 선교 경력을 가진 선교 전문가 맥 스타일즈가 최근 복음연합(The Gospel Coalition)에 "선교사의 엄청난 3대 혼란"이라는 글을 게재했다.

 

1. Confusion : Gospel in Context - 상황 안에서의 복음

그는 이 글에서 첫 번째 혼란으로 "상황 안에서의 복음"을 꼽았다. 그는 "우리는 복음을 상황에 맞추기 위해 수정하지 않는가? 우리는 그리스도의 말씀을 덜 요구해야 하는가?"라는 질문을 던진 뒤, "안 된다. 안 된다. 안 된다"고 단언했다.

 

그는 "오늘날 선교에 있어 가장 엄청난 유혹은 우리가 신학자가 아닌 문화인류학자가 먼저 되려 한다는 것"이라며 "그렇게 되면 문화적 이해가 하나님의 말씀보다 앞서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하나님의 말씀을 지나치게 상황화하지 말아야 할 두 가지 이유가 있다"며 첫째로 "당신은 (하나님의 말씀을 임의로 수정할 만큼) 충분히 똑똑하지 않다"는 것, 둘째로 "그것은 당신의 권한 밖의 일이다"는 것을 들었다.

 

2. Confusion : Church and Culture - 교회와 문화

그가 꼽은 두 번째 혼란은 "교회와 문화"다. 그는 "교회는 하나님의 언약에 따라 세례를 받은 신자들이 성경에 따라 훈련을 하는 정규적 모임"이라며 "교회는 신자들의 임의 모임도, 커피를 마시기 위해 함께하는 친교 모임도, 콘서트도 아니"라고 강조했다.

 

그는 한 교회를 예로 들었는데, 그 교회는 장로도 세우지 않고, 세례도 주지 않고, 간음죄를 저지른 선교사를 복음으로 회복시키려 하지 않고 그냥 집으로 돌려 보냈다. 그는 "그것은 교회가 아니"라며 "우리는 지나친 서구화도, 지나친 현지화도 원하지 않는다. 우리가 진정 바라는 것은 성경적 문화와 하나님의 말씀에 근거한 교회"라고 했다.

 

3. Confusion : Missionary Identity - 선교사의 정체성

세 번째 혼란은 "선교사의 정체성"이다. 그는 "나는 최근 '당신이 파송받지 않았다면 선교 현장에 가지 말아야 하는 이유'에 대해 논쟁을 벌였다"며 "'파송받은 자'라는 것은 선교사의 가장 근본적 성격"이라고 했다.

 

그는 또 "당신이 얼마나 좋은 일들을 많이 하든지, 당신이 제자들을 세우지 않는다면 당신은 선교사가 아니"라며 "당신의 목표는 복음을 선포하고 제자를 세우는 것"이라고 했다. 

The Gospel Coalition


월드미션뉴스.jpg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259 아시아 교회 지도자들, 아시아 복음화 논의! file kim 2017.08.27
258 아주사 나우(Azusa Now) 다민족 기도회 file kim 2016.04.12
257 아프리카스터디성경(ASB) 사상 첫 출간, 역사의 분기점! file kim 2017.06.23
256 알파고 신드롬, 인간다움을 다시 묻다, 신앙인에게 주는 성찰의 메시지! file kim 2016.03.16
255 애틀랜타 신성우목사초청 가을부흥성회 file wgma 2017.09.09
254 애틀랜타 화요기도회-강사 장영출목사 file wgma 2016.10.26
253 양병희 목사 - 꿈을 품고 전진하라 file kim 2016.02.23
252 양의문교회 윤상철목사 인터뷰 file YK 2014.08.28
251 양준홍 장로 - 소련선교1편 (이소영 목사) file wgma 2017.06.08
250 어느 목사님의 ‘5無 장례식’… 종교개혁 500주년에 더 큰 울림 file wgma 2017.02.03
249 어떤 상황에서도 나는 예배하네 - 조수아 file kim 2014.12.23
248 어머니는 미국에서 가장 영적인 존재! file kim 2017.05.14
247 어머니의 기도로 믿음의 날개를 펼치며, 성령으로 연주하는 천재 바이올리니스트 박지혜 file kim 2014.11.04
246 어버이날 문자로 여러분의 사랑을 표현하세요 ( For Parents' Day ) file kim 2015.05.08
245 억만장자들, 은신처에 무기 모으는 등 종말대비책 마련! file kim 2017.08.10
244 에수님 부활 내 부활 2018'- 눅24:1-10 이우영 목사 file wgma 2018.04.01
243 역경의 열매] 조동진 <29> “모든 민족교회들이 만민을 위해 기를 들라” file wgma 2018.06.13
242 연세대학교 총동문 목회자부흥협의회의 2017 신년회 file kim 2017.01.18
241 열린수양관의 복지랜드로 나눔의 목회 실천하는 원종문 목사, 김희신 목사! file kim 2015.07.30
240 영광교회 김영언 목사 [한 영혼을 위하여, 주님 부르시는 그 곳에...] file kim 2015.03.26
Board Pagination Prev 1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 33 Next
/ 33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게임방, 학교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

TALK